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은 2024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114조 8,252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며, 수출도 10% 늘어난 72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29일 발표했다.
업종별 생산실적 현황
식품산업 생산은 국내 제조업 총생산의 16.8%를 차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식품 및 식품첨가물, 용기포장 등을 포함한 일반 식품이 74조 2,920억 원(64.7%)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축산물이 37조 7,714억 원(32.9%), 건강기능식품이 2조 7,618억 원(2.4%) 순이었다.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의 확산은 생산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설탕을 줄인 '슈거제로' 제품은 590개 품목, 생산액 5,726억 원으로 전년 대비 20.1% 증가했다. 특히 음료 외 빵류와 소스류에서도 제로 제품이 확대되며 109.7% 급성장했다.
식물성 원료 기반 식품은 691억 원어치 생산돼 전년 대비 5배 이상 증가했으며, 고단백 식품 생산액은 24% 증가한 5,688억 원에 달했다. 이는 건강한 식사를 추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소비 성향이 반영된 결과다.
축산물에서는 저염·저당·저지방 제품의 생산량이 21.3% 증가했고, 닭가슴살 등 저지방 고단백 부위 활용 제품 생산액도 7.3% 늘었다. 무항생제·동물복지 인증 제품은 3년 평균 11.9% 성장하며 지속적인 관심을 받았다.
건강기능식품 분야에서는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 생산액이 5,461억 원으로 전년보다 24.4% 늘며 처음으로 홍삼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기억력 개선(1조 1,426억 원), 혈행 개선(1조 1,651억 원) 관련 제품이 4년 연속 매출 1, 2위를 기록했으며, 피부건강과 인지력 개선 제품의 매출도 각각 32.7%, 106.7% 증가했다.
수출 실적도 크게 향상됐다. 라면은 17.6%, 즉석섭취식품은 25.6%, 조미김은 22.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K-푸드의 글로벌 인기를 입증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번 자료가 식품산업 정책 수립과 기업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건강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 경향에 맞춘 산업 발전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백광진
기자
많이 본 뉴스
- 1“15% 할인 혜택, 놓치지 마세요!”…9월 1일부터 ‘보령 사랑 상품권’ 판매 시작
- 2제62회 전국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9월 6일 개최
- 3보령시 소상공인연합회, 2025 역량강화 워크숍 참가
- 4보령시민의 따뜻한 마음, 분실 현금 경찰서에 신고
- 5“돌봄이 도시를 밝힌다” 보령시, 장기요양 종사자·시민과 함께 어르신 섬김 실천 행사로 이어져
- 6보랏빛 향연, 2025 서천 맥문동 축제 개막
- 7보령시 퇴직 공직자들은 ‘태극기 선양 캠페인’으로 나라 사랑에 앞장서다
- 8네이버페이,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 결제 시장 공략…‘상하이 유학생 서포터즈’ 활동 본격화
- 9제62회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성료
- 10한국암웨이‘심리와 마케팅 융합한 MBTI’알고 다름을 이해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