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16일 유료 콘텐츠 구독 서비스 ‘브런치 작가 멤버십’을 정식 출시하며, 창작자에게는 수익 전액을 보장하고 독자에게는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양방향 창작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카카오가 16일 유료 콘텐츠 구독 서비스 ‘브런치 작가 멤버십’을 정식 출시하며, 창작자에게는 수익 전액을 보장하고 독자에게는 무료 체험 기회를 제공하는 양방향 창작 생태계 조성에 나섰다.
카카오의 콘텐츠 퍼블리싱 플랫폼 ‘브런치스토리’는 16일 ‘브런치 작가 멤버십’을 정식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는 독자가 유료로 작가를 구독하고, 멤버십 전용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구독 서비스로, 창작자에게는 수익화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고 독자에게는 양질의 콘텐츠 접근 기회를 제공한다.
정식 오픈에 앞서 지난 1월부터 대표 작가 20여 명과 함께 시범 운영을 진행한 브런치 작가 멤버십은 창작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이어 6월 10일부터 한 달간 진행된 참여 작가 사전 모집에는 3,000명이 넘는 신청이 몰리며 기대감을 입증했다.
카카오는 창작자 지원의 일환으로 2026년 6월까지 플랫폼 수수료를 전면 면제하기로 했다. 창작자가 유료 구독 수익 전액을 온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해, 안정적인 창작 활동을 도모하겠다는 방침이다.
창작자 혜택도 강화됐다. 멤버십 작가 전원에게는 전용 프로필이 제공되며, 전용 콘텐츠 10편 이상 발행과 유료 구독자 100명 이상 달성 시, 파트너 출판사와의 출간 기회가 주어진다. 시범 운영 기간 중 연재된 브런치북 가운데 세 작품은 실제 출간을 앞두고 있다.
독자들을 위한 프로모션도 마련됐다. 브런치스토리는 ‘오늘만 무료’ 혜택을 통해 매일 한 작품을 24시간 무료로 공개한다. 이를 통해 유료 구독 전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작가에게는 신규 구독자를 유치할 수 있는 창구로 활용된다.
오성진 카카오 브런치 리더는 “브런치 작가 멤버십은 창작자의 콘텐츠가 진성 독자와 연결되고, 실질적인 수익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만드는 시작점”이라며 “지속 가능한 창작 생태계를 위한 마중물이 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브런치스토리의 창작 생태계는 이미 확대되고 있다. 2025년 6월 기준 신규 작가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35% 증가했으며, 브런치북 작품 수는 125% 늘었다. 창작자 직접 후원 모델인 ‘응원하기’ 기능의 누적 응원금은 4억 원을 돌파했다.

백광진
기자
많이 본 뉴스
- 1제62회 전국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9월 6일 개최
- 2네이버페이,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 결제 시장 공략…‘상하이 유학생 서포터즈’ 활동 본격화
- 3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특허 7,500건 출원…미래차 기술 선점에 ‘올인’
- 4기준금리 2.50%로 인하…한국은행, 경기 둔화에 선제 대응
- 5[영상] 투머치 토커 상담원과의 통화… '금성사 콜센터'의 반전 매력
- 6경기도민 70% "생활물가 부담", 절반 이상은 '경제 이해 교육' 희망
- 7시흥시, 주민과 함께하는 자원순환마을 축제 '댓골마을 차차차' 14일 개최
- 8보령시 퇴직 공직자들은 ‘태극기 선양 캠페인’으로 나라 사랑에 앞장서다
- 9금투협 대표단 CIP 본사 방문… 재생에너지 투자 협력 방안 논의
- 10김정관 산업장관, 美 러트닉 상무장관과 관세협상 집중 논의…“8월 1일 전 타결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