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이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의 스마트 물류 전환을 위한 핵심 장비로 항만 무인이송장비(AGV) 57대를 추가 공급한다. 이는 부산 신항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스마트 항만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현대로템은 AGV 공급과 함께 관제시스템, 충전기 등 운영에 필요한 통합 설비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현대로템은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ongwon Global Terminal Busan, 이하 DGT)에서 발주한 부산 신항 7부두 항만 무인이송장비(Automated Guided Vehicle, AGV) 공급 사업의 발주의향서(LOI)를 수령했다고 17일 밝혔다.
현대로템은 17일 동원글로벌터미널부산(DGT)으로부터 ‘부산 신항 7부두 AGV 공급 사업’의 발주의향서(LOI)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현대로템은 지난 2023년 같은 7부두에 AGV 43대를 공급한 데 이어 추가 물량 57대를 납품하게 됐으며, 지난해 광양항 AGV 44대 수주에 이어 3년 연속 항만 자동화 부문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AGV는 컨테이너를 항만 내에서 자동으로 운반하는 스마트 물류의 핵심 설비다. 현대로템은 이번 납품을 통해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반 항만 운영 시스템을 갖춘 국내 최초의 완전 자동화 스마트 항만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부산 신항은 북극항로 개척 전략의 전진기지로서 동북아 물류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AGV 도입은 이에 대한 중장기 대응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대로템은 단순 납품을 넘어 AGV의 성능 개선과 관제시스템 고도화, 사후지원 등 운영 효율 극대화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DGT의 컨테이너 처리 최적화를 위해 진행된 현장 지원 사례는 현대로템의 기술력과 운용 전문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향후에는 시간당 컨테이너 처리량을 높일 수 있는 고속 AGV 개발과 유지보수 체계 고도화 등을 통해 글로벌 항만 자동화 시장 진출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또한 현대로템은 항만 AGV의 차체 및 핵심 기능품 국산화율을 높여 국내 산업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이는 유지보수 대응 속도 및 가동률 측면에서 외산 제품 대비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스마트 항만 기술의 국산화를 통해 한국형 물류 자동화 산업의 기반을 다지고 있다”며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고품질 AGV를 적시에 공급하고, 운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최적화된 사후지원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백광진
기자
많이 본 뉴스
- 1제62회 전국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9월 6일 개최
- 2네이버페이,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 결제 시장 공략…‘상하이 유학생 서포터즈’ 활동 본격화
- 3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특허 7,500건 출원…미래차 기술 선점에 ‘올인’
- 4기준금리 2.50%로 인하…한국은행, 경기 둔화에 선제 대응
- 5[영상] 투머치 토커 상담원과의 통화… '금성사 콜센터'의 반전 매력
- 6경기도민 70% "생활물가 부담", 절반 이상은 '경제 이해 교육' 희망
- 7시흥시, 주민과 함께하는 자원순환마을 축제 '댓골마을 차차차' 14일 개최
- 8보령시 퇴직 공직자들은 ‘태극기 선양 캠페인’으로 나라 사랑에 앞장서다
- 9금투협 대표단 CIP 본사 방문… 재생에너지 투자 협력 방안 논의
- 10김정관 산업장관, 美 러트닉 상무장관과 관세협상 집중 논의…“8월 1일 전 타결 총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