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고려대학교가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 분야 산학협력 성과를 점검하고, 연구의 사업화를 가속화하기 위한 워크숍을 7월 17일 서울 고려대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공동 개최했다.
 KT와 고려대학교가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AICT 분야 공동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사업화를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 워크숍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KT와 고려대학교가 고려대학교 백주년기념삼성관에서 AICT 분야 공동 연구의 성과를 공유하고 실질적인 사업화를 위한 워크숍을 열었다. 워크숍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지난해 양 기관이 체결한 ‘AICT 공동연구센터’ 협약에 따른 1차년도 협력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로, KT 기술혁신부문 오승필 부사장과 AI Future Lab 배순민 상무, 고려대 윤성택 연구 부총장 등 양측 주요 인사와 교수·연구진 2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여했다.
KT와 고려대는 ‘현장 적용 중심’이라는 목표 아래 총 15개의 공동 과제를 1년여 간 수행해 왔다. 연구 주제는 ▲한국형 AI 모델 및 벤치마크 기술 ▲에이전틱 AI ▲Vertical sLM(특화 소형 언어모델) ▲비용 효율 AI ▲클라우드 및 보안 등으로 구성됐으며, 각 과제는 기술 확보, 사업 계획, 사업 적용의 3단계 관점에서 실질적 결과를 도출했다.
특히 KT 독자 개발 LLM ‘믿:음 2.0’에 활용된 ▲한국형 sLM/LLM 평가지표 및 벤치마크셋 연구, KT 법률 특화 모델의 ▲Vertical sLM 기술 개발, 사내 고객서비스 앱 개선에 적용된 ▲AI UX 고도화 연구, KT SPC(공공 클라우드)에 반영된 ▲소버린 클라우드 정책 연구 등 4개 과제는 실제 서비스에 적용돼 성과를 내고 있는 대표 사례로 꼽혔다.
KT는 이를 바탕으로 믿:음 2.0 고도화 및 ‘국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참여를 본격화한다. 동시에 고려대를 포함한 주요 연구기관들과 ‘한국형 AI 공동연구그룹’을 구성해, 한국어와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AI 기술의 실용화를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
고려대 윤성택 연구 부총장은 “이번 협력은 대학의 연구 성과가 기업 현장에 직접 이식되는 모범적 산학협력 사례”라며, “AI 시대를 이끌 핵심 기술 개발에 있어 양 기관의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KT 오승필 기술혁신부문장은 “급변하는 AI 생태계 속에서 기술의 실효성과 사업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KT는 앞으로도 산학 협력을 통해 한국형 AI의 주도권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KT와 고려대는 오는 8월부터 2차년도 공동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며, 한국형 AI 파운데이션 기술 확보 및 핵심 응용 서비스 개발을 위한 협력을 한층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백광진
기자
많이 본 뉴스
- 1“15% 할인 혜택, 놓치지 마세요!”…9월 1일부터 ‘보령 사랑 상품권’ 판매 시작
- 2제62회 전국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9월 6일 개최
- 3보령시 소상공인연합회, 2025 역량강화 워크숍 참가
- 4보령시민의 따뜻한 마음, 분실 현금 경찰서에 신고
- 5“돌봄이 도시를 밝힌다” 보령시, 장기요양 종사자·시민과 함께 어르신 섬김 실천 행사로 이어져
- 6보랏빛 향연, 2025 서천 맥문동 축제 개막
- 7보령시 퇴직 공직자들은 ‘태극기 선양 캠페인’으로 나라 사랑에 앞장서다
- 8네이버페이,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 결제 시장 공략…‘상하이 유학생 서포터즈’ 활동 본격화
- 9제62회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성료
- 10한국암웨이‘심리와 마케팅 융합한 MBTI’알고 다름을 이해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