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품이 1,938만 톤, 357억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수입량은 5.4%, 금액은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수도 전년보다 6.8% 늘어난 84만 6천여 건으로 집계됐다.
2024년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품이 1,938만 톤, 357억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수입량은 5.4%, 금액은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품목군별 수입실적(중량)
식품의약품안전처가 30일 발표한 ‘2024년 수입식품 통계’에 따르면, 국가별 수입량은 미국, 중국, 호주 순으로 이 세 나라가 전체 수입량의 52.6%를 차지했다.
특히 미국산 옥수수 수입량이 1,070% 급증하며 밀·대두와 함께 주요 곡물 수입 증가를 견인했다. 이는 우크라이나와 루마니아산 옥수수 수입 감소를 대체한 결과로 분석된다.
품목군별로는농·임산물(900만 톤, 46.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가공식품(664만 톤, 34.3%), 축산물(181만 톤), 수산물(90만 톤) 등이 뒤를 이었다. 농·임산물 수입은 전년 대비 10.1% 늘었고, 특히 밀(15.3%), 옥수수(12.2%)의 증가 폭이 컸다. 신선 농산물은 배추, 파, 당근 등 수입이 급증하며 15.9% 증가했다.
가공식품 중에서는 김치가 31만 2천 톤 수입되며 전년 대비 8.7% 증가, 4년 연속 수입 증가세를 기록했다. 대부분은 중국산(99.9%)이다.
건강기능식품은 2만 3천 톤 수입되며 4.2% 감소세를 보였지만, 국산 건강기능식품의 수출은 2억 7,864만 달러로 12.2%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식약처는 개인의 해외 직접구매 증가가 수입량 감소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수입식품 안전관리도 강화되고 있다. 전체 수입량 중 0.04%에 해당하는 7,352톤(1,454건)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반입이 차단됐다. 부적합 사유는 식품첨가물 기준 위반(294건)이 전년 대비 51.5% 증가해 가장 눈에 띄었고, 개별 기준·규격 위반(456건), 농약 잔류 기준 위반(250건)이 뒤를 이었다. 부적합 국가로는 중국, 베트남, 미국 순이며, 품목은 폴리프로필렌, 과자류, 과채가공품 등이 많았다.
식약처는 “국내 반입 전 단계부터 유통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직구를 통한 수입 증가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다”며 “수입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해 국민이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백광진
기자
많이 본 뉴스
- 1제62회 전국 나라사랑 스피치대회 보령시 예선, 9월 6일 개최
- 2네이버페이, BC카드·유니온페이와 손잡고 중국 결제 시장 공략…‘상하이 유학생 서포터즈’ 활동 본격화
- 3현대모비스, 최근 3년간 특허 7,500건 출원…미래차 기술 선점에 ‘올인’
- 4기준금리 2.50%로 인하…한국은행, 경기 둔화에 선제 대응
- 5[영상] 투머치 토커 상담원과의 통화… '금성사 콜센터'의 반전 매력
- 6보령시 퇴직 공직자들은 ‘태극기 선양 캠페인’으로 나라 사랑에 앞장서다
- 7경기도민 70% "생활물가 부담", 절반 이상은 '경제 이해 교육' 희망
- 8시흥시, 주민과 함께하는 자원순환마을 축제 '댓골마을 차차차' 14일 개최
- 9금투협 대표단 CIP 본사 방문… 재생에너지 투자 협력 방안 논의
- 10김정관 산업장관, 美 러트닉 상무장관과 관세협상 집중 논의…“8월 1일 전 타결 총력”